본문 바로가기

온라인마케팅/기타마케팅팁135

CTR, CPM, CPC… 마케팅 약자들, 이렇게 쉬웠다고? 마케팅에는 다양한 약자(줄임말)가 존재합니다.  물론 어느정도 경력이 있는 마케터는 상관 없지만, 아무래도 초보 마케터에게는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의미는 그리 어렵지 않고 수학도 아닌 단순 사칙 연산일 뿐입니다. 약자만 알면 쉬운 용어들 예를 들어, CPC와 CPV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니며 매우 간단합니다.CPC (Cost Per Click) = 비용 / 클릭 = 클릭당 비용CPV (Cost Per View) = 비용 / 조회 = 조회당 비용 특히 CPV는 영상광고가 많아진 최근에 자주 사용되는 용어입니다.이에 반해 CTR과 CPM은 조금 다른데, 이 때문에 마케팅 용어가 어렵다고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역시 한 번만 정독하면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노출과 밀접하지만 .. 2024. 12. 18.
GTM을 이용한 NEW USER 유입 추적 GTM을 이용해 새방문자 (New User)를 추적하는 방법입니다. 추적의 실마리는 New User 는 새로운쿠키를 만든다 는 점입니다. (같은 컴에서, 다른 브라우저로 유입되는것도 중복 처리되지만 흔지 않은 경우이므로 무시합니다.) 아래는 위 변수를 추적하는 함수 입니다 (iife - 즉시 실행 함수) 더 간단한 방법도 있겠지만, 일단 최대한 간단히(?) 구현했습니다. 심지어 필요없는 변수도 안지웠습니다. 이 구현 방법은 아래 원문을 참고로 제작했습니다. https://www.simoahava.com/gtm-tips/check-for-new-user/ (수많은 댓글과 업뎃이 있는것으로 추정컨대 다소 손을 봐야 할거 같습니다만, 일단 동작하므로 패스합니다.) 궁금한 사항은 댓글로 문의 바랍니다. ▶ 전환.. 2021. 5. 15.
GA분석을 통한 유입 및 광고효과 분석 예 GA를 통하면 홈페이지 내부에서의 고객의 행동, 그리고 홈페이지 오기까지의 다양한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그중 대표적인 데이터와 그 해석의 예입니다. (해당 그래픽은 Google Data Studio를 이용했습니다) PART 1. 유입분석 GA 분석의 기본이 되는 유입에 대한 분석입니다. ① 유입기기 비율 : 모바일이 압도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 홈페이지는 모바일 친화적으로 구축 해야만 합니다. ② 사용자 유형 재방문자가 25%입니다. 이는 리타겟팅의 결과이기도 하며 재방문자는 전환이 높으므로 매우 신경 써야 합니다. ③ 사용자 수 : 일정기간동안의 방문자수입니다. ④ 세션당 페이지 수 : 페이지뷰가 높을수록 콘텐츠가 좋다는 의미로, 페이지 뷰가 높으면 전환율이 높습니다. (세션의.. 2020. 12. 7.
자사몰 어디가 좋나요? (카페24, 아임웹, 윅스, 고도몰...) (고객이 직접 문의한 사항을 편집한 글 입니다) Q 기존 스마트 스토어에 입점해 판매중인 업체입니다. Sns, gdn, youtube 분석 및 브랜딩 차원에서 자사몰 알아보고 있는데 솔루션 추천좀 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제품이 한개라.. 수량으로 나눠도 6개 정도? 라서 오히려 윅스나 아임웹으로 할지 그래도 고도몰이나 카페24로 할지 고민중입니다. A 문의에 답변 드립니다. 자사몰은 대부분 기술이 비슷하므로 '익숙한 것'이 제일 좋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카페24가 SEO부터 마케팅 활용성, 디자인업체 수, 편의 프로그램 확장성 등이 매우 뛰어납니다. 새로운 유행(?)에 대한 대처도 빠른편이구요. 카페 24가 특히 잘 한다기 보다는 규모가 큰 업체이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 다음을 꼽으라면 아임웹도 쓸만합.. 2020. 10. 6.
organic, referral, 소스, 매체의 의미 Q. 구글 애널리틱스 보고서를 보는데 organic, direct, referral 요런 게 한눈에 안 들어오네요. 봐도 봐도 헷갈립니다. [그림1] A. 광고결과 보고서에 유입된 소스와 매체를 구분하는데, 소스/매체의 형태로 리포트 됩니다. 질문하신 organic, direct, referral 은 매체를 의미합니다. 소스와 매체 매체를 이해하기 전에 먼저 소스와 매체를 구분해야 합니다. 예를 들자면 어느 기자가 범죄 특종을 보고한다고 하면 소스 (who, where) : OO경찰서 OOO형사 매체 (how) : 회식자리에서 흘린 말 / 개인 직접 인터뷰 등과 같이 소스는 누구, 어디서 (who, where)의 의미이고 매체는 어떻게(how)의 의미에 가깝습니다. 예컨대 naver/cpc 은 네이버에서.. 2019. 11. 13.
온라인 광고 대행 맡기면 뭐가 다른가요? Q 대행사에 온라인 광고 대행(예. GDN 등)을 맡기면 효율이 높도록 신경 써 주시나요? 광고를 의뢰하면 귀찮아서 그냥 방치하는 경우도 있다던데, 그래서 대행 없이 운영할까합니다. A 답변이 무척이나 어려운 질문입니다. 광고 최대 효율이 100이라할 때 대행사가 할 수 있는 건 업체의 노하우로 일단 50까지 함께 가서, 그곳에서 한걸음씩 나아가는 것입니다. 굳이 비유한다면 그렇습니다. 광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물론 여기에는 수많은 요소가 유기적으로 작용합니다. 해당광고의 효과 및 한계에 대한 이해 가용 광고 예산 홈페이지 등 랜딩페이지의 콘텐츠 질 등 많은 요소가 광고매체 선택&운영 이외에 전환에 영향을 미칩니다. 눈에 띄는 차이점 따라서 온라인 광고 대행 운영에는 이러한 요소를 피드백 하는 광고전.. 2019. 1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