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make.com에서 Google OAuth를 사용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n8n도 포함)
- Gmail 과 구글 드라이브만 Google OAuth를 사용합니다.
- 그외 구글 서비스는 로그인으로 충분합니다.
- 노트북에 n8n을 설치하는 경우, Google OAuth은 별도 연결필요. (make.com 재사용 불가)
- 특별한 내용없이도 그림대로 따라오면 됩니다.
1. 구글링 : google cloud console
2. 새 프로젝트 추가
3. API 추가
- Gmail, Google Drive 각각
- 나머지 서비스는 로그인으로 충분
4. OAuth 동의부터 진행
- 중간에, [외부 앱]으로 진행
5. 브랜딩 추가
- 승인된 도메인은 make.com 에서는 필요
- 단, 맥북에 n8n 설치할 때는 입력하지 않은채로 진행 가능
6. 데이터 액세스 추가
- /drive 와 /drive.readonly 입력하면 나타나는 것 선택
- 단 직접 범위에 https://mail.google.com 은 직접 입력 후 테이블에 추가 클릭
- 대상에 사용자 추가
7. OAuth 클라이언트 ID 발행
- 유형 : 웹 애플리 케이션
- 이름: 자유롭게 지정
- 입력시 JavaScript 원본은 불필요
- 리다이랙션 URI 입력 필수 : n8n 맥북 설치시에도 docker등에서 내용 찾을 수 있습니다.
8. 완성
- 보안 비번은 재 발급 또는 확인이 불가. 반드시 별도로 저장 필요
※ 추가팁 : Google OAuth 풀리지 않게 유지하기